아우디, Disguise 기술 기반의 출시 행사로 새로운 비전을 공개하다
몰입형 경험
브랜드 경험

개요
중국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브랜드 ‘아우디 퍼플(Audi Purple)’ 출시를 기념해, 아우디는 전기차의 미래 지향적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위해 아우디는 혁신적인 디지털 경험 제작에 강점을 지닌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Super Bonfire와 협업하여, 아우디가 그리는 새로운 세계를 무대 위에 구현했습니다. 행사의 핵심은 500명의 게스트를 고해상도 비주얼로 둘러싸 몰입시킨 360° 디지털 환경이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아우디 퍼플이 전하는 영감을 시각적으로 경험하며, 아우디가 지향하는 미래의 비전을 직접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Super Bonfire는 Disguise의 클라우드 기반 워크플로우와 고성능 하드웨어를 활용해, 라이브 이벤트 제작의 한계를 넘어서는 완벽하고 시각적으로 압도적인 출시 행사를 구현했습니다.
도전 과제
오늘날 라이브 이벤트 현장에서는 초고화질 LED 스크린 벽으로 생생한 무대를 연출하는 사례가 흔해졌습니다. 같은 기술은 영화와 TV 촬영에서도 활용되어 배우들을 사방에서 둘러싸는 몰입형 실시간 세계를 만들어냅니다. Super Bonfire가 구상한 것은 이 두 가지를 결합한 형태였습니다. 즉, 관객을 완전히 감싸는 곡선 벽으로 구성된 360° 가상 세트, 일종의 발견의 디지털 동굴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도전 과제가 있었습니다. 제작팀은 중국, 말레이시아, 독일 등 전 세계에서 동시에 협업해야 했고, 실제 무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복잡한 기술 프로그래밍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무대 공간 자체도 큰 도전 과제였습니다. 최대 500명을 수용할 수 있어야 했고, 행사 중앙에 자동차를 배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어야 했습니다. 또한 벽, 천장, 무대 전면에 걸쳐 끊김 없는 초고화질 영상을 구현해야 했습니다.
Super Bonfire의 전무이사 Jason Kirby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Kai는 목표를 “고글 없이도 VR을 체험하는 듯한 이벤트”라고 설명했습니다. 두 사람은 “360° 몰입형 시각적 경험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가 가장 큰 도전이었습니다. 특수 곡면 스크린으로 맨눈 VR 같은 경험을 주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제였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해결책
Super Bonfire 팀은 이 야심찬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곧바로 Disguise를 선택했습니다. 준비 초기부터 Disguise Designer 소프트웨어의 클라우드 기능을 활용해 전 세계 팀원들이 원격으로 워크플로우에 접속하고 이벤트 디자인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행사 일주일 전 팀이 상하이에 모였을 때는 이미 주요 준비가 끝난 상태였습니다.


최종 결과물을 구현하는 과정에서도 Disguise 기술은 핵심적이었습니다. Kirby와 Kai는 “이 프로젝트는 대용량 파일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였습니다. Disguise는 극도로 높은 해상도와 다중 스크린 동기화에 최적화된 플래그십 성능을 제공합니다. 말 그대로 할리우드급 구성을 활용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행사에는 Disguise의 VX4와 4x4 Pro가 사용되었습니다. 이 장비들은 최대 64Kx64K 해상도를 지원하며, 최대 16대의 장비를 연결한 클러스터에서도 초저지연 프레임 동기화를 보장합니다. 덕분에 영상이 벽에서 천장, 바닥까지 끊김 없이 이어지며 쇼의 역동성이 매끄럽게 구현되었습니다.
결과
행사 당일, 업계와 언론의 주요 오피니언 리더들이 모였고, 500명의 관객과 함께 마치 VR 속에 들어온 듯한 몰입형 공간을 경험했습니다.
Super Bonfire의 비전은 단 한 치의 오류 없이 완벽히 실현되었습니다. Disguise 워크플로우 덕분에 작은 기술 모듈 단위로 작업을 관리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었으며, 관객들이 집중한 것은 사방을 둘러싼 압도적인 시각효과와 그 중심에 선 혁신적인 아우디 신차뿐이었습니다.
사용된 장비
크레딧
브랜드: Audi China
에이전시: Auditoire Shanghai
총괄 프로듀서: Jason Kirby
총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Kaism
기술 감독: David Ran
프로젝트 매니저: Abbie
리드 프로듀서: Radzi
프로덕션 프로듀서: Yanlu Guo, January, Coco
물류 프로듀서: Crystal Gao
쇼 프로덕션
쇼 디렉터: Quinton, Jason Kirby
보조 쇼 디렉터: Kaylee Tee
콘텐츠 크리에이티브 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Kaism, Syazwan Nazaruddin
수석 아트 디렉터: Lockyi
보조 아트 디렉터: KC, Xiang
애니메이션/VFX 디렉터: Madnas, Azhan
음악 & SFX 작곡가: Alex Klingle (AK)
프로덕션 팀
무대 설치 & 3D: Fukun
밍글 존 – KV 루프, 카운트다운, 메인 컴포지션: 73
오프닝
메인 컴포지션: Min Min
컴포지터: Hejianyang, Natalie
편집자: Xiaohe
메인 스테이지 – 루프 애니메이션
메인 컴포지션: Hejianyang
메인 스테이지 – 빌드업
메인 컴포지션: Isha Hening
3D 아티스트: Danish
두 세계의 최고 쇼 (Best of Both Worlds Show)
CG 리드/메인 컴포지션: Azhan
컴포지터: Isha Hening, Zhenyu
3D 아티스트: Rafif, Ming, Danish
UE 아티스트: Zhonghai, Bart, Guntech
키아웃: Kaism, Zhonghao
키네틱 시프트 쇼 (Kinetic Shift Show)
CG 리드/메인 컴포지션: Syazwan Nazaruddin
컴포지터: Rey
3D 아티스트: Taozi, Rey, GML, Zi Qing, Kee, Dandan
UE 아티스트: Zhonghai, Bart, Lau, Cheebin,
자동차 공개
CG 리드/메인 컴포지션: Madnas
3D 아티스트: Dhameer
노치 아티스트: Mel, Cuong (MXC)
VJ 루프: Tang Yihu
Disguise 오퍼레이터: Leo
IT 지원: Firdaus
BTS 사진작가/비디오그래퍼: Yang Zhao